반응형
기초대사량이란?
기초대사량이란 생명 활동을 유지해 나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두뇌, 심장, 내장기관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입니다. 기초대사량이 높다는 것은, 그만큼 가만히 있어도 에너지가 빠져나간다는 뜻으로, 상대적으로 살이 잘 안 찌게 되는 것입니다. 특히 근육은 기초대사량의 40%를 소모하는 곳으로 근육량을 늘리면 기초대사량도 늘어나게 됩니다. 즉 근육 운동을 해서 근육을 만들면 살이 안 찌는 체질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!
나의 기초대사량은?
기초대사량의 측정은 하루에 에너지를 얼마나 쓰느냐를 계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의 에너지 대사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해 줍니다. 기초대사량은 사람마다 틀립니다. 그 이유는 사람마다 키, 체중, 나이, 성별, 활동 정도, 식생활이 다 다르기 때문. 아래의 수식으로 키, 체중, 나이, 성별을 통해 기초대사량의 평균 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.
<기초대사량 산정 공식- Harris-BenedictEquation(B.E.E)방법> 남자 : 66.47+(13.75 X 체중)+(5 X 키) - (6.76 X 나이) 여자 : 655.1+(9.56 X 체중)+(1.85 X 키) -(4.68 X 나이) |
<다른 기초대사량 산정 공식> (12.2*체중)-(4.82*나이)-(126.1*성별)+(2.85*신장) + 468.3 |
<성별 / 연령 / 표준 체중 / 기초대사량>
남자
20~29세 / 71.8 ± 10.6 ㎏ / 1728 ± 368.2 ㎉
30~49세 / 70.3 ± 9.24 ㎏ / 1669.5 ± 302.1 ㎉
50~64세 / 70.0 ± 6.66 ㎏ / 1493.8 ± 315.3 ㎉
여자
20~29세 / 52.1 ± 6.12 ㎏ / 1311.5 ± 233.0 ㎉
30~49세 / 57.4 ± 6.29 ㎏ / 1316.8 ± 225.9 ㎉
50~64세 / 60.2 ± 7.81 ㎏ / 1252.5 ± 228.6 ㎉
위 표는 남녀 연령별 표준 체중과 기초대사랑을 조사한 통계 자료입니다.
본인의 기초대사량과 비교를 하면 표준보다 많고 적음을 알 수 있습니다.
기초대사량은 기본적으로 체중과 비례합니다.
체중이 많이 나가면 당연히 기초대사량도 많게 됩니다.
하지만 중요한 건 단위 체중 당 기초대사량입니다.
체중이 적게 나가면서 기초대사량이 많아야 건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같은 체중일지라도 기초대사량의 많고 적음의 개인차가 있습니다.
이는 기초대사량은 근육량과 비례하기 때문입니다.
몸의 지방을 줄이고 근육량을 늘려야 기초대사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입니다.
따라서 근육 운동을 통해 몸의 근육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!!
※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해서 체성분 분석 기기를 통해 기초대사량을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!
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아침 공복에 30분 동안 침대에 누워서 안정을 취한 후 가스호흡분석기에 측정합니다. 이는 현재 그 사람의 기초대사량을 가장 근접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-자료출처:KBS비타민 게시판-
햇살주인 블로그 http://blog.naver.com/nun070/
반응형
'주인장 > 체중조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체중감량시 하루에 꼭 먹어야 하는 식품 (0) | 2013.05.15 |
---|